2022년 목요살롱 문화콘서트 는 음악가, 문화 종사자, 현대 생활 각 방면의 전문가들과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눕니다. 게스트들과 함께 여유롭고 활기찬 소통을 통해 문화콘텐츠와 친해지는 만남의 장에 여러분을 초청합니다.
서초동 예술의 전당 앞 작은 살롱콘서트전문 IPAC 뮤직홀에서
2022. 05. 12 음악적 고찰을 통한 ESG경영의 이해
김형준 광운대 교수(전)
뉴노말시대 음악적 가치. 음악적 고찰을 통한 ‘ESG ( 환경·사회·투명) 경영’ 이해.
기업의 이윤 추구는 소외계층 배려, 친환경, 에너지 절약, 지속가능성 등, 환경과 사회, 사람을 중시하는 가치 창출을 위한 ‘ESG 경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은 문화예술 정책에도 서서히 녹아들고 있다. 대기업 임원출신이자 음악컬럼리스트인 강사의 살롱
4차산업혁명 = 융합 (공감, 소통)
ESG 경영과 음악의 역할
음악: 청각 예술 (접근 어려움)
음악의 특성과 ESG
음악과 소리의 차이점
미래 기업 = 오케스트라 같은 조직
경영자 = 예술가, 지휘자
최고 경지 역량: 덕목과 가치
ESG경영과 국력
김형준 광운대 교수(전)
현) 한국ESG학회, 한국코치협회 감사
전) 외대 강사 및 광운대 겸임교수
정부투자기관 평가교수단
SK그룹 임원
경영학 석사
미국 국제경영대학원 수학
챔버오케스트라 고문 (M&P)
IPAK 자문위원
경영 및 음악 컨설팅/ 칼럼 연재
저서: 베트남, 인도와 협상하기 (2021년, 박영사)
논문: 중국기업과 협상전략
뉴노말시대 음악적 가치. 음악적 고찰을 통한 ‘ESG ( 환경·사회·투명) 경영’ 이해.
기업의 이윤 추구는 소외계층 배려, 친환경, 에너지 절약, 지속가능성 등, 환경과 사회, 사람을 중시하는 가치 창출을 위한 ‘ESG 경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은 문화예술 정책에도 서서히 녹아들고 있다. 대기업 임원출신이자 음악컬럼리스트인 강사의 살롱
4차산업혁명 = 융합 (공감, 소통)
ESG 경영과 음악의 역할
음악: 청각 예술 (접근 어려움)
음악의 특성과 ESG
음악과 소리의 차이점
미래 기업 = 오케스트라 같은 조직
경영자 = 예술가, 지휘자
최고 경지 역량: 덕목과 가치
ESG경영과 국력
김형준 광운대 교수(전)
현) 한국ESG학회, 한국코치협회 감사
전) 외대 강사 및 광운대 겸임교수
정부투자기관 평가교수단
SK그룹 임원
경영학 석사
미국 국제경영대학원 수학
챔버오케스트라 고문 (M&P)
IPAK 자문위원
경영 및 음악 컨설팅/ 칼럼 연재
저서: 베트남, 인도와 협상하기 (2021년, 박영사)
논문: 중국기업과 협상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