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초보자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프로그램 | 설명 |
피아노 초보자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 피아노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하고, 직접 피아노를 체험해보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간단한 곡을 연주하면서 음악적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돕고, 음악적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 |
이벤트 개요 | 설명 |
목적 | 초보자들에게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하고, 간단한 연주 체험을 통해 음악적 즐거움을 느끼게 함. |
대상 | 모든 초보자. |
형식 | 피아노 이론 강의, 기초 실습, 자유 연주 시간을 포함한 프로그램. |
특징 | 설명 |
기초부터 체험까지 | 초보자들이 기초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직접 연주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참가자 맞춤형 지도 | 각 참가자의 실력과 속도에 맞춘 1:1 지도 |
자유로운 연주와 소통 | 참가자들 간의 자유로운 연주와 소통을 통해 음악적 경험을 나누고 교류할 수 있는 시간 제공. |
피아노 초보자 교육 프로그램은 피아노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하고, 직접 연주해보는 이벤트입니다.
이벤트 개요:
- 목적: 초보자들에게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
- 대상: 모든 초보자.
- 형식: 피아노 이론 강의, 기초 실습, 그리고 참가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자유 연주 시간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특징:
- 기초부터 체험까지: 피아노를 전혀 다뤄본 적 없는 초보자들이 기초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직접 연주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참가자 맞춤형 지도: 각 참가자의 실력과 속도에 맞춰 피아노 강사가 1:1 지도를 제공
- 자유로운 연주와 소통: 참가자들이 서로 피아노 연주 경험을 나누고, 음악을 통해 교류할 수 있는 자유로운 연주 시간을 제공.
주최자 소개
피아니스트 김성은
피아니스트 김성은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South Carolina에서 피아노 연주 석사학위와 피아노 교수법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에서 피아노 연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 재학 시절 내내 장학금을 수여하였으며 Young Artist Competition에서 우승하여 U.S.C. Orchestra와 협연하였고, 미국 음대 최우수 학생에게 부여되는 Pi Kappa Lambda 회원으로도 선정되었다.
귀국 후 예술의 전당에서의 독주회를 시작으로 다수의 독주와 반주 활동을 하였으며, 특별히 실내악에 관한 관심으로 피아노 앙상블 단체인 ‘테마 앙상블’을 창단하여 매년 독창적인 주제로 청중이 음악회를 하나의 스토리로 따라올 수 있도록 연출하는 무대를 개최하여 큰 호응을 얻었고 다양한 현대 피아노 앙상블 작품들도 국내 초연하였다. ‘무용과 피아노와의 만남’ 공연 등의 폭넓고 다양한 연주 활동을 펼쳤으며 불가리아 바르나에서 열린 ‘바르나 국제 피아노 클래스 및 콩쿨’에 초청되어 독주회를 개최하였다. ‘피아노 문헌 연구회’ 정기 연주회와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렉처 콘서트, 학술대회 연주, ‘한국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협회’의 커뮤니케이션 콘서트, ‘토탈 미술관 음악 아카데미’에서의 강의와 연주 등의 학구적인 연주 활동도 꾸준히 하여 왔다.
2010년부터 일신 문화재단 후원의 ‘피아노로 풀어내는 현대음악 New Music Compact for the Piano’ 시리즈를 통해 현대 피아노 음악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기존의 고정된 레퍼토리의 틀을 깨는 새로운 작품들을 현재까지 매년 소개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서울문화재단 후원으로 한국쿱오케스트라와 베토벤 피아노협주곡을 협연하였고 미술관 음악회, 출판 콘서트 등의 작은 하우스 콘서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7년부터는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정기연주회인 ‘토크 앤 플레이 렉처 콘서트’를 맡아 <매혹의 시대 시리즈>를 기획하고 뛰어난 연주자들과 함께 무대에 올려 참신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으로 호평 받았다.
2019년부터 IPAC 월요 토크콘서트 ‘피아노로 그리는 세계지도’ I. II. III 시리즈로 해설과 함께하는 살롱콘서트로 청중과 만나기 시작하였고 2020년부터는 ‘피아니스트 김성은과 함께 하는 현대음악데이트’시리즈로 현대음악을 친숙하게 소개하는 연주회를 기획하여 무대에 올리고 있다.
올바른 피아노 교수법의 정립과 확산을 위해 전국적으로 수차례의 세미나 강의를 진행하였고,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교육분과위원장, 학술분과위원장, 공연예술분과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학회 부회장으로 학회 활동을 이끌고 있으며, 2012년 창립된 한국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협회(K3PA)에서는 자문 위원으로 정기연주회와 워크숍을 통해 폭넓은 학술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마추어 피아니스트들의 모임인 Blessing Piano Society의 대표로 전문 음악가와 아마추어 음악가의 경계를 허물고 소통하는 일에도 힘쓰고 있으며,
서울필로스합창단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1년 러시아 작곡가 사무엘 마이카파의 피아노페달 교육용 작품집인 <페달 프렐류드>를 출간하였다.
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 백제예술대학 겸임교수와 명지대 교육대학원, 경기예고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상명대 대학원, 건국대학교 음악영재교육원에 출강하고 있다.
피아노 초보자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프로그램 | 설명 |
피아노 초보자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 피아노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하고, 직접 피아노를 체험해보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간단한 곡을 연주하면서 음악적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돕고, 음악적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 |
이벤트 개요 | 설명 |
목적 | 초보자들에게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하고, 간단한 연주 체험을 통해 음악적 즐거움을 느끼게 함. |
대상 | 모든 초보자. |
형식 | 피아노 이론 강의, 기초 실습, 자유 연주 시간을 포함한 프로그램. |
특징 | 설명 |
기초부터 체험까지 | 초보자들이 기초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직접 연주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참가자 맞춤형 지도 | 각 참가자의 실력과 속도에 맞춘 1:1 지도 |
자유로운 연주와 소통 | 참가자들 간의 자유로운 연주와 소통을 통해 음악적 경험을 나누고 교류할 수 있는 시간 제공. |
피아노 초보자 교육 프로그램은 피아노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하고, 직접 연주해보는 이벤트입니다.
이벤트 개요:
- 목적: 초보자들에게 기초적인 이론과 실습을 제공
- 대상: 모든 초보자.
- 형식: 피아노 이론 강의, 기초 실습, 그리고 참가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자유 연주 시간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특징:
- 기초부터 체험까지: 피아노를 전혀 다뤄본 적 없는 초보자들이 기초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직접 연주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참가자 맞춤형 지도: 각 참가자의 실력과 속도에 맞춰 피아노 강사가 1:1 지도를 제공
- 자유로운 연주와 소통: 참가자들이 서로 피아노 연주 경험을 나누고, 음악을 통해 교류할 수 있는 자유로운 연주 시간을 제공.
주최자 소개
피아니스트 김성은
피아니스트 김성은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South Carolina에서 피아노 연주 석사학위와 피아노 교수법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에서 피아노 연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 재학 시절 내내 장학금을 수여하였으며 Young Artist Competition에서 우승하여 U.S.C. Orchestra와 협연하였고, 미국 음대 최우수 학생에게 부여되는 Pi Kappa Lambda 회원으로도 선정되었다.
귀국 후 예술의 전당에서의 독주회를 시작으로 다수의 독주와 반주 활동을 하였으며, 특별히 실내악에 관한 관심으로 피아노 앙상블 단체인 ‘테마 앙상블’을 창단하여 매년 독창적인 주제로 청중이 음악회를 하나의 스토리로 따라올 수 있도록 연출하는 무대를 개최하여 큰 호응을 얻었고 다양한 현대 피아노 앙상블 작품들도 국내 초연하였다. ‘무용과 피아노와의 만남’ 공연 등의 폭넓고 다양한 연주 활동을 펼쳤으며 불가리아 바르나에서 열린 ‘바르나 국제 피아노 클래스 및 콩쿨’에 초청되어 독주회를 개최하였다. ‘피아노 문헌 연구회’ 정기 연주회와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렉처 콘서트, 학술대회 연주, ‘한국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협회’의 커뮤니케이션 콘서트, ‘토탈 미술관 음악 아카데미’에서의 강의와 연주 등의 학구적인 연주 활동도 꾸준히 하여 왔다.
2010년부터 일신 문화재단 후원의 ‘피아노로 풀어내는 현대음악 New Music Compact for the Piano’ 시리즈를 통해 현대 피아노 음악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기존의 고정된 레퍼토리의 틀을 깨는 새로운 작품들을 현재까지 매년 소개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서울문화재단 후원으로 한국쿱오케스트라와 베토벤 피아노협주곡을 협연하였고 미술관 음악회, 출판 콘서트 등의 작은 하우스 콘서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7년부터는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정기연주회인 ‘토크 앤 플레이 렉처 콘서트’를 맡아 <매혹의 시대 시리즈>를 기획하고 뛰어난 연주자들과 함께 무대에 올려 참신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으로 호평 받았다.
2019년부터 IPAC 월요 토크콘서트 ‘피아노로 그리는 세계지도’ I. II. III 시리즈로 해설과 함께하는 살롱콘서트로 청중과 만나기 시작하였고 2020년부터는 ‘피아니스트 김성은과 함께 하는 현대음악데이트’시리즈로 현대음악을 친숙하게 소개하는 연주회를 기획하여 무대에 올리고 있다.
올바른 피아노 교수법의 정립과 확산을 위해 전국적으로 수차례의 세미나 강의를 진행하였고,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교육분과위원장, 학술분과위원장, 공연예술분과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학회 부회장으로 학회 활동을 이끌고 있으며, 2012년 창립된 한국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협회(K3PA)에서는 자문 위원으로 정기연주회와 워크숍을 통해 폭넓은 학술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마추어 피아니스트들의 모임인 Blessing Piano Society의 대표로 전문 음악가와 아마추어 음악가의 경계를 허물고 소통하는 일에도 힘쓰고 있으며,
서울필로스합창단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1년 러시아 작곡가 사무엘 마이카파의 피아노페달 교육용 작품집인 <페달 프렐류드>를 출간하였다.
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 백제예술대학 겸임교수와 명지대 교육대학원, 경기예고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상명대 대학원, 건국대학교 음악영재교육원에 출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