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제85회IPAC 월요콘서트 창작 피아노연탄곡 2 - Piano On의 창작곡연주회
|
일시 | 2020.11.23.(월) 오후 08:00
|
장소 | IPAC홀 |
출연자 | 이혜경 / 피아노 양수아 유지현 최민혜 문보미 |

<Program>
김국진 '한국의 소리' 중 -이혜경, 유지현
시골의 풍경화
한강수타령
김은혜 ‘아라리9’ -이혜경, 양수아
이영조 ‘엮음아리랑’ -이혜경, 최민혜
김자현 ‘점진적인 변화’ -유지현, 최민혜
홍승기'흩뿌려진 상념들' - 이혜경, 양수아
I 향수
II 행락
III 상념
IV 정념 - V 동경 - VI 정념
<Profile>
Piano On
Piano On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피아노전공 이혜경교수를 주축으로 이루어진 전문연주단체로 ‘On’은 ‘온전하다, 지속되다, 무대에 올리다‘라는 의미입니다.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신선한 앙상블의 기쁨으로 관객과의 미래지향적인 소통을 추구하며, 100여곡의 한국창작곡을 비롯하여 250여곡에 달하는 피아노앙상블 레파토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05년 창단 이후 다수의 ‘정기연주회’ ‘대학간 교류연주회’ ‘듀오협주곡의 밤’ ‘대한민국 실내악제전’ ‘국회초청 연주회’ ‘청소년 음악회’ 등으로 활발한 연주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에는 ‘광복70주년 기념 K-Classic Piano Tour’로 전국 14개 도시를 순회하며 총 100곡의 한국 창작피아노곡을 무대에 올리는 기념비적 활동을 펼쳤습니다. 이외에도 ‘구로아트밸리 피아노앙상블 페스티발’ ‘강동아트센터 한밤의 클래식’ ‘삼모아트센터 피아노 페스티발’ 등지에서 청중과의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음악감독 이혜경
-서울예술고등학교 명예졸업, 뮌헨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교육대학, 이화경향 콩쿨, 독일 음대연합 콩쿨, 포르투갈 '비안나 다 모타' 국제콩쿨 입상
-음악동아 '올해의 음악가상', 한국음악협회 '한국음악상', 한국음악평론가협회 '서울음악상'
-독일,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영국, 호주,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알제리, 말레이시아,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 연주
-러시아 Classical Records사 음반 발매, 독일 자브뤼켄 국립음대 교환교수 역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피아노전공 교수

양수아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 졸업, 동 대학원 졸업
-독일 베를린 한스 아이슬러 국립음대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실내악 및 독주)
동 대학 최고연주자과정 수료
-중앙대학교, 경기예고, 단국대학교, 국립군산대학교 강사, 예인교수앙상블 상임반주자 역임
-서울기독대학교 평생교육원, 전주예고 출강
-Piano On 멤버, 피아노앙상블 'Duo YANG' 대표

유지현
-인천예술고등학교, 중앙대학교 피아노과 연주전공 졸업
-독일 프라이부르그 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폴란드 첸스트호바 교향악단, 루마니아 Iasi State 교향악단 협연
-독일 바덴바덴 등지 초청 연주 및 다수 독주회
-인천예고 강사. 예인 교수앙상블 피아니스트 역임
-중앙대학교 출강, Piano On 멤버

최민혜
-중앙대학교 졸업
-독일 에센 폴크방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독일 에센 폴크방 국립음대 실내악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 가곡반주과 전문연주자과정 수료
-이탈리아 Don Vincenzo Vitti 국제콩쿨 2위, 스페인 Ibiza 국제콩쿨 특별상
-인천예고, 계원예중, 계원예고, 안양예고, 인천중등예술영재원 출강, Piano On 멤버

문보미
- 계원예술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피아노과 수석졸업
- 독일 뮌헨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 최고점수 졸업, 뮌헨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Roma 국제콩쿨 2위, Ischia 국제콩쿨 2위
- 계원예고, 강남심포니, 중앙대학교 오케스트라 협연 및 다수 독주회
- 서울종합예술학교 강의 출강 역임
- 계원예중, 계원예고, 안양예고 출강, Piano On 멤버
<곡 해설>
김국진
한국작곡가회 수석부회장, 한국교회음악협회 대표이사, 한국작곡가회 상임고문
'한국의 소리'
기법적으로 난해하지 않으면서, 한폭의 민화처럼 소박한 한국의 정감을 묘사한 곡이다.
김은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학사 및 석사, 프랑스 파리 소르본느 대학 음악학 박사,
대한민국 작곡상 수상, 한국작곡가협회 이사, 현 수원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아라리 9’
정선아리랑을 주제선율로, 두개의 굿거리장단이 사용된 론도형식 (A-B-A’-C-A“)으로 구성하였다.
이영조
뮌헨 국립음대 최고위과정 졸업,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박사,
연세대 및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교수,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원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장, 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
‘엮음아리랑’
우리나라에는 지방 마다 성격이 다른 아리랑들이 있는데, 5음음계와 좁은 음역이 특징이다. 이곡에서는 반음계와 색깔 있는 화성을 입혀 단순성을 상쇄하고, 본아리랑, 진도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이 주제로 사용되어 중첩과 발전을 거듭한다. 이혜경 교수의 위촉으로 작곡 되었다.
김자현
숙명여대 작곡과, 한양대 대학원 뉴미디어 음악과, 상명대학교 뉴미디어 음악학 박사
전자음악공연 '비디오 푸가', 낭독극 '어느 여름날', 거리예술무용극 '어게인 1988' 등 작품,
현 삼육대, 상명대 대학원 강사
‘점진적인 변화’
단순화와 반복을 기본 원칙으로 하여 느리게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미니멀 음악을 시도했다. D-Eb음과 복합박자의 성격을 가진 주제가 끊임없이 반복된다.
홍승기
한양대학교 작곡과, 비엔나 국립음악원 작곡과 및 지휘과 졸업,
구스타프 말러 국제작곡콩쿨 1위, 서울 국제작곡콩쿨 2위, 다수 국제콩쿨 입상,
현 숙명여자대학교 작곡과 부교수
‘흩뿌려진 상념들’
현대적인 음악 어법을 배제하고 후기낭만과 근대화성진행을 바탕으로 여러 감정의 전환들을 묘사하였다. 옛 생각에 젖은 향수, 즐거운 여가, 여러가지 상념, 그리고 막연히 교차되는 정념과 동경의 감정들을 고전적인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원래 두대의 피아노를 위해 작곡된 곡을 연탄곡으로 개작하였다
<Program>
김국진 '한국의 소리' 중 -이혜경, 유지현
시골의 풍경화
한강수타령
김은혜 ‘아라리9’ -이혜경, 양수아
이영조 ‘엮음아리랑’ -이혜경, 최민혜
김자현 ‘점진적인 변화’ -유지현, 최민혜
홍승기'흩뿌려진 상념들' - 이혜경, 양수아
I 향수
II 행락
III 상념
IV 정념 - V 동경 - VI 정념
<Profile>
Piano On
Piano On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피아노전공 이혜경교수를 주축으로 이루어진 전문연주단체로 ‘On’은 ‘온전하다, 지속되다, 무대에 올리다‘라는 의미입니다.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신선한 앙상블의 기쁨으로 관객과의 미래지향적인 소통을 추구하며, 100여곡의 한국창작곡을 비롯하여 250여곡에 달하는 피아노앙상블 레파토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05년 창단 이후 다수의 ‘정기연주회’ ‘대학간 교류연주회’ ‘듀오협주곡의 밤’ ‘대한민국 실내악제전’ ‘국회초청 연주회’ ‘청소년 음악회’ 등으로 활발한 연주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에는 ‘광복70주년 기념 K-Classic Piano Tour’로 전국 14개 도시를 순회하며 총 100곡의 한국 창작피아노곡을 무대에 올리는 기념비적 활동을 펼쳤습니다. 이외에도 ‘구로아트밸리 피아노앙상블 페스티발’ ‘강동아트센터 한밤의 클래식’ ‘삼모아트센터 피아노 페스티발’ 등지에서 청중과의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음악감독 이혜경
-서울예술고등학교 명예졸업, 뮌헨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교육대학, 이화경향 콩쿨, 독일 음대연합 콩쿨, 포르투갈 '비안나 다 모타' 국제콩쿨 입상
-음악동아 '올해의 음악가상', 한국음악협회 '한국음악상', 한국음악평론가협회 '서울음악상'
-독일,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영국, 호주,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알제리, 말레이시아,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 연주
-러시아 Classical Records사 음반 발매, 독일 자브뤼켄 국립음대 교환교수 역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피아노전공 교수
양수아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 졸업, 동 대학원 졸업
-독일 베를린 한스 아이슬러 국립음대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실내악 및 독주)
동 대학 최고연주자과정 수료
-중앙대학교, 경기예고, 단국대학교, 국립군산대학교 강사, 예인교수앙상블 상임반주자 역임
-서울기독대학교 평생교육원, 전주예고 출강
-Piano On 멤버, 피아노앙상블 'Duo YANG' 대표
유지현
-인천예술고등학교, 중앙대학교 피아노과 연주전공 졸업
-독일 프라이부르그 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폴란드 첸스트호바 교향악단, 루마니아 Iasi State 교향악단 협연
-독일 바덴바덴 등지 초청 연주 및 다수 독주회
-인천예고 강사. 예인 교수앙상블 피아니스트 역임
-중앙대학교 출강, Piano On 멤버
최민혜
-중앙대학교 졸업
-독일 에센 폴크방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독일 에센 폴크방 국립음대 실내악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 가곡반주과 전문연주자과정 수료
-이탈리아 Don Vincenzo Vitti 국제콩쿨 2위, 스페인 Ibiza 국제콩쿨 특별상
-인천예고, 계원예중, 계원예고, 안양예고, 인천중등예술영재원 출강, Piano On 멤버
문보미
- 계원예술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피아노과 수석졸업
- 독일 뮌헨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 최고점수 졸업, 뮌헨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Roma 국제콩쿨 2위, Ischia 국제콩쿨 2위
- 계원예고, 강남심포니, 중앙대학교 오케스트라 협연 및 다수 독주회
- 서울종합예술학교 강의 출강 역임
- 계원예중, 계원예고, 안양예고 출강, Piano On 멤버
<곡 해설>
김국진
한국작곡가회 수석부회장, 한국교회음악협회 대표이사, 한국작곡가회 상임고문
'한국의 소리'
기법적으로 난해하지 않으면서, 한폭의 민화처럼 소박한 한국의 정감을 묘사한 곡이다.
김은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학사 및 석사, 프랑스 파리 소르본느 대학 음악학 박사,
대한민국 작곡상 수상, 한국작곡가협회 이사, 현 수원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아라리 9’
정선아리랑을 주제선율로, 두개의 굿거리장단이 사용된 론도형식 (A-B-A’-C-A“)으로 구성하였다.
이영조
뮌헨 국립음대 최고위과정 졸업,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박사,
연세대 및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교수,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원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장, 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
‘엮음아리랑’
우리나라에는 지방 마다 성격이 다른 아리랑들이 있는데, 5음음계와 좁은 음역이 특징이다. 이곡에서는 반음계와 색깔 있는 화성을 입혀 단순성을 상쇄하고, 본아리랑, 진도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이 주제로 사용되어 중첩과 발전을 거듭한다. 이혜경 교수의 위촉으로 작곡 되었다.
김자현
숙명여대 작곡과, 한양대 대학원 뉴미디어 음악과, 상명대학교 뉴미디어 음악학 박사
전자음악공연 '비디오 푸가', 낭독극 '어느 여름날', 거리예술무용극 '어게인 1988' 등 작품,
현 삼육대, 상명대 대학원 강사
‘점진적인 변화’
단순화와 반복을 기본 원칙으로 하여 느리게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미니멀 음악을 시도했다. D-Eb음과 복합박자의 성격을 가진 주제가 끊임없이 반복된다.
홍승기
한양대학교 작곡과, 비엔나 국립음악원 작곡과 및 지휘과 졸업,
구스타프 말러 국제작곡콩쿨 1위, 서울 국제작곡콩쿨 2위, 다수 국제콩쿨 입상,
현 숙명여자대학교 작곡과 부교수
‘흩뿌려진 상념들’
현대적인 음악 어법을 배제하고 후기낭만과 근대화성진행을 바탕으로 여러 감정의 전환들을 묘사하였다. 옛 생각에 젖은 향수, 즐거운 여가, 여러가지 상념, 그리고 막연히 교차되는 정념과 동경의 감정들을 고전적인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원래 두대의 피아노를 위해 작곡된 곡을 연탄곡으로 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