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anist Peter Ovtcharov
피아니스트 피터 오브차로프는 러시아의 예술가집안에서 태어나 Grigory Sokolov, Valery Gergiev, Gidon Kremer 등 세계적인 음악가를 배출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영재아카데미에서 수학하였고, 독일의 저명한 교수 Karl-Heinz Kaemmerling를 사사하며 짤츠부르크의 모차르테움 국립음대를 졸업하였다.
유럽, 아시아 등 유수의 콘서트홀에서 솔로이스트로, 오케스트라 협연자로 연주해 호평받았으며 모스크바 콘서바토리 Great Hall, 비엔나 뮤지크페라인 Golden Hall, 도쿄 Opera City Hall, 키로프 극장, 모차르테움 Great Hall, 프라하 루돌피눔 홀, 서울 예술의전당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국제적인 연주자로서의 음악 활동을 지속하였다.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국제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 콩쿨 2위(1992년), 제 3회 국제 영 차이코프스키 콩쿨 은메달(1997년), 오스트리아 콩쿨 1위. ‘Gradus ad Parnassum’(2004년), Silvio Bengalli Piano Prize(2004년), 비엔나 국제 베토벤 콩쿨 3위(2005년)를 수상하는 등 다수의 국제콩쿨에서 풍부한 감수성과 테크닉으로 인정받았으며, 특히 2006년에는 세계적인 독일 페스티벌 “Kissinger Sommer”에서 ‘올해의 아티스트’, Luitpold Prize를 수여했다. 이 외에도 독주자로의 연주뿐만 아니라 Yuri Temirkanov, Bertrand de Billy, Adrian Brendel, Michael Collins, Wen-Shinn Yang 등 저명한 음악가들과 협업하였고, 독일 뮌헨 Bavarian Radio와 함께 CD 녹음 작업에 참여하였다.
오브차로프는 2008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국제 음악 페스티벌 ‘알레그로 비보’에 상주 음악가이자 교수로 초청받아 매년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한국 최연소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또한 유명 피아노 교수로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러시아에서 마스터클래스와 강의를 하고 있으며, 국내외 콩쿨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의 제자들을 국제 콩쿨 입상과 전세계 일류대학에 진학시키는 등 명교수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2018 년부터 그는 이탈리아의 아말피 탄 해안에있는 유명한 독일 피아니스트 빌헬름 켐프 프의 개인 빌라에서 열리는 새로운 국제 음악 축제인 슈만 아카데미 포지 타노의 창립자이자 예술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가장 유서깊은 명문대 중 하나인 연세대 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국내 주요 공연장에서 연주하며 꾸준한 관객을 만나고 있으며 그 실황이 SBS, MBC, YTN, ARTE TV에서 방송되었다. 2020 년에는 Gramola (Vienna의 가장 오래된 녹음 레이블)와 녹음한 CD 가 가을에 공식 발매 예정이며 또한 러시아 St.Petersburg의 Valery Gergiev 국제 피아노 페스티벌 (Valery Gergiev 's International Piano Festival)에서 독주회가 예정되어 있다.
Peter Ovtcharov was born into an artistic family in Russia; and at an early age he entered The Academy for Gifted Children in St. Petersburg – a legendary school that has produced talents such as Grigory Sokolov, Valery Gergiev, Guidon Kremer and many others. He later graduated from the Mozarteum University of Salzburg, where he studied with the renowned German teacher, Karl-Heinz Kaemmerling.
He has performed as a soloist, and as a soloist with orchestra, in the most prestigious concert halls of Europe and Asia. He has appeared at the Great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ry, the Golden Hall of the Vienna Musikverein, the Tokyo Opera City Hall, the Kirov Theater, the Salzburg Mozarteum Great Hall, the Rudolfinum of Prague, the Shanghai Oriental Arts Center and the Seoul Art Center.
He has won prizes and awards, including the Second Prize of the International Vladimir Krainev Competition in Kharkiv, Ukraine (1992), the Silver Medal of the 3rd 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 for Young Musicians (1997), the First Prize of the National Austrian competition, “Gradus ad Parnassum” (2004), the 2nd prize at the Silvio Bengalli Piano competition (Italy, 2004), and the Third Prize of the International Beethoven Competition in Vienna (2005). In 2006, he received the Luitpold Prize, “Artist of the Year”, from the prestigious German festival, “Kissinger Sommer”.
Peter started his pedagogical activities very early, even before completing his final studies – as, in 2008, he was invited to be Professor and Artist in Residence at the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Allegro Vivo” in Austria. He continues his annual master classes there, to this day. In 2010, he became the youngest full-time piano professor in South Korea. As one of the most sought after piano pedagogues of his generation, he gives numerous master classes and lectures in Korea, Japan, Taiwan, China, Austria, Italy, France and Russia. He serves as a jury member at competitions, and his students have w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prizes, and have entered leading music universities throughout the world. Since 2018, he is founder and artistic director of Schumann Academy Positano, a new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that takes place at the private villa of famous German pianist Wilhelm Kempff at the Amalfitan coast in Italy.
He has recently been appointed Professor of Yonsei University, one of the oldest and most prestigious universities in Korea. He performs on all major concert stages in Korea, and his concerts there have been recorded and broadcast by such TV channels as SBS, MBC, YTN and ARTE.
His activities for 2020 include a CD recording for Gramola (Vienna's oldest recording label, official release date fall 2020) and a planned solo recital at the Valery Gergiev's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in St.Petersburg, Russia.
Program
Beethoven
Pathetique slow movement
Tempest final movement
Vladimir Sverdlov-Ashkenazy
Sonatine
Ballade
Burlesque
Beethoven
Symphony no.5
1st;Heejin Kim
2nd:Peter Ovtcharov
# Pianist Peter Ovtcharov
피아니스트 피터 오브차로프는 러시아의 예술가집안에서 태어나 Grigory Sokolov, Valery Gergiev, Gidon Kremer 등 세계적인 음악가를 배출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영재아카데미에서 수학하였고, 독일의 저명한 교수 Karl-Heinz Kaemmerling를 사사하며 짤츠부르크의 모차르테움 국립음대를 졸업하였다.
유럽, 아시아 등 유수의 콘서트홀에서 솔로이스트로, 오케스트라 협연자로 연주해 호평받았으며 모스크바 콘서바토리 Great Hall, 비엔나 뮤지크페라인 Golden Hall, 도쿄 Opera City Hall, 키로프 극장, 모차르테움 Great Hall, 프라하 루돌피눔 홀, 서울 예술의전당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국제적인 연주자로서의 음악 활동을 지속하였다.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국제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 콩쿨 2위(1992년), 제 3회 국제 영 차이코프스키 콩쿨 은메달(1997년), 오스트리아 콩쿨 1위. ‘Gradus ad Parnassum’(2004년), Silvio Bengalli Piano Prize(2004년), 비엔나 국제 베토벤 콩쿨 3위(2005년)를 수상하는 등 다수의 국제콩쿨에서 풍부한 감수성과 테크닉으로 인정받았으며, 특히 2006년에는 세계적인 독일 페스티벌 “Kissinger Sommer”에서 ‘올해의 아티스트’, Luitpold Prize를 수여했다. 이 외에도 독주자로의 연주뿐만 아니라 Yuri Temirkanov, Bertrand de Billy, Adrian Brendel, Michael Collins, Wen-Shinn Yang 등 저명한 음악가들과 협업하였고, 독일 뮌헨 Bavarian Radio와 함께 CD 녹음 작업에 참여하였다.
오브차로프는 2008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국제 음악 페스티벌 ‘알레그로 비보’에 상주 음악가이자 교수로 초청받아 매년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한국 최연소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또한 유명 피아노 교수로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러시아에서 마스터클래스와 강의를 하고 있으며, 국내외 콩쿨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의 제자들을 국제 콩쿨 입상과 전세계 일류대학에 진학시키는 등 명교수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2018 년부터 그는 이탈리아의 아말피 탄 해안에있는 유명한 독일 피아니스트 빌헬름 켐프 프의 개인 빌라에서 열리는 새로운 국제 음악 축제인 슈만 아카데미 포지 타노의 창립자이자 예술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가장 유서깊은 명문대 중 하나인 연세대 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국내 주요 공연장에서 연주하며 꾸준한 관객을 만나고 있으며 그 실황이 SBS, MBC, YTN, ARTE TV에서 방송되었다. 2020 년에는 Gramola (Vienna의 가장 오래된 녹음 레이블)와 녹음한 CD 가 가을에 공식 발매 예정이며 또한 러시아 St.Petersburg의 Valery Gergiev 국제 피아노 페스티벌 (Valery Gergiev 's International Piano Festival)에서 독주회가 예정되어 있다.
Peter Ovtcharov was born into an artistic family in Russia; and at an early age he entered The Academy for Gifted Children in St. Petersburg – a legendary school that has produced talents such as Grigory Sokolov, Valery Gergiev, Guidon Kremer and many others. He later graduated from the Mozarteum University of Salzburg, where he studied with the renowned German teacher, Karl-Heinz Kaemmerling.
He has performed as a soloist, and as a soloist with orchestra, in the most prestigious concert halls of Europe and Asia. He has appeared at the Great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ry, the Golden Hall of the Vienna Musikverein, the Tokyo Opera City Hall, the Kirov Theater, the Salzburg Mozarteum Great Hall, the Rudolfinum of Prague, the Shanghai Oriental Arts Center and the Seoul Art Center.
He has won prizes and awards, including the Second Prize of the International Vladimir Krainev Competition in Kharkiv, Ukraine (1992), the Silver Medal of the 3rd 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 for Young Musicians (1997), the First Prize of the National Austrian competition, “Gradus ad Parnassum” (2004), the 2nd prize at the Silvio Bengalli Piano competition (Italy, 2004), and the Third Prize of the International Beethoven Competition in Vienna (2005). In 2006, he received the Luitpold Prize, “Artist of the Year”, from the prestigious German festival, “Kissinger Sommer”.
Peter started his pedagogical activities very early, even before completing his final studies – as, in 2008, he was invited to be Professor and Artist in Residence at the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Allegro Vivo” in Austria. He continues his annual master classes there, to this day. In 2010, he became the youngest full-time piano professor in South Korea. As one of the most sought after piano pedagogues of his generation, he gives numerous master classes and lectures in Korea, Japan, Taiwan, China, Austria, Italy, France and Russia. He serves as a jury member at competitions, and his students have w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prizes, and have entered leading music universities throughout the world. Since 2018, he is founder and artistic director of Schumann Academy Positano, a new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that takes place at the private villa of famous German pianist Wilhelm Kempff at the Amalfitan coast in Italy.
He has recently been appointed Professor of Yonsei University, one of the oldest and most prestigious universities in Korea. He performs on all major concert stages in Korea, and his concerts there have been recorded and broadcast by such TV channels as SBS, MBC, YTN and ARTE.
His activities for 2020 include a CD recording for Gramola (Vienna's oldest recording label, official release date fall 2020) and a planned solo recital at the Valery Gergiev's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in St.Petersburg, Russia.
김희진 피아니스트 Kim Heejin
피아니스트 김희진은 일찍이 피아노에 입문하여 서울예술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이후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및 국내 최초의 피아노 연주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일보사 주최 피아노 콩쿨 특상,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주최 콩쿨 1위, 삼익 호루겔 콩쿨 1위, Young International Competition 등으로 입상하며 음악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그는 Aspen Music Festival에 참가하여 “Young Artist’s Concert”에 출연하였다.
1990년 귀국독주회(세종문화회관)를 시작으로 다수의 연주회를 가진 그는, 만하임 스트링콰르텟 초청 내한 공연, 한일 교류 음악회 연주(동경 무사시노 홀), 미국 Bach Dancing & Dynamite Society 초청 연주, 피아노 음악 건반 위의 비르투오조 김희진 피아노 독주회, 인터내셔널 피아노 초청 독주회 뿐만 아니라 영국 Wigmore Hall 초청 독주회, 하와이 대학 초청 피아노 독주회, 월간 피아노 음악 초청 독주회, 인터내셔널 피아노 초청 독주회 등 국내외 수많은 무대에서 활발하게 독주 활동을 펼쳐왔다.
한편 2012년에는 리스트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는 독일 바이마르 리스트 콩쿨에 게스트 피아니스트로 초청되어 리스트 홀에서 독주회를 가진 바 있다.
더불어 수원시향 협연, 서울 바로크 합주단 정기연주회 협연을 비롯하여 체코 프라하 시립 오케스트라 협연(Smetana 홀), 폴란드 크라코프 필하모닉 챔버 오케스트라 초청 연주 협연, 영국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두 차례 협연(St. John’s Square in London, Cadogan Hall in London), KBS교향악단과 실내악을 협연,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 협연 및 한국피아노학회, 한국음악학회, 음악교육신문사, 한국두오협회, 리스트학회 주최 정기 연주회 다수 출연 등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들과 함께하며 뛰어난 연주력으로 인정받아왔다.
또한 상명앙상블 창단 연주회 및 청소년 음악회, 중국 텐진 대학, 길림성대학 초청 연주회를 비롯한 수차례의 실내악 연주와 Liszt Weimar Camp, Vienna International Pianist Academy, Asia International Piano Academy, 프랑스 Flaine camp opus 74에서 마스터클래스 및 연주등을 통해 연주자로서 끊임없이 배우고 노력하며 보다 폭넓고 다양한 경험을 쌓아왔다.
현재 피아니스트 김희진은 상명대학교 피아노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양성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