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 -원작
리골레토(이탈리아어: Rigoletto)는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3막의 오페라이다. 빅토르 위고의 희곡 《환락의 왕》 (Le roi s'amuse)를 기초로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완성하였다. 1851년 3월 11일 베네치아의 라 페니체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배경 및 줄거리
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는 빅토르 위고의 5막으로 된 희극 <방탕한 왕 Le Rois’ amuse,1832>에 바탕을 둔다. 오페라는 3막으로 완성되었으며 완성된 오페라의 원제는 <저주> 였다. 이 작품은 비웃음과 신랄한 풍자를 날리는 꼽추 어릿광대 리골레토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작품이다. 테너가 주역을 맡는다는 통념에서 벗어나 바리톤이 주역을 맡는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16세기 이탈리아 북부의 만토바 공국, 꼽추 어릿광대 리골레토는 호색한인 만토바 공작을 주인으로 섬기며 그와 함께 악행을 일삼는다. 리골레토는 만토바 공작을 즐겁게 하는 존재이며, 항상 공작의 악행을 돕는다. 그런 그 에게는 숨겨둔 딸 질다가 있다. 대학생으로 변장한 만토바 공작은 리골레토의 딸 질다를 우연히 교회에서 만나게 되고 리골레토의 딸임을 알게 된다. 그는 리골레토의 집에 숨어들어 질다를 유혹하고 농락한다. 이에 분노한 리골레토는 살인 청부업자 스파라푸칠레를 고용하여 공작을 죽이려고 한다. 하지만 이 음모를 다 알게 된 질다는 공작을 사랑한 나머지 대신 죽임을 당하고 리골레토는 통한 하며 오페라는 결말을 맺는다.
오페라 살인(The Murder)
연출 노트(극의 분석 및 연출노트)
“ 예술가, 현 시대의 리골레토-우리는 왜 미칠 수 밖에 없는가?”
오페라 (살인)은 바리톤 가수를 통해 바라 본 리골레토의 비극적인 삶에 관한 이야기이다. 나는 광대의 삶과 현 시대의 예술인의 삶이 일정부분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역사를 살펴보면 예술가들은 각 시대의 권력층, 혹은 부유한 지배층의 후원과 도움을 받지 않으면 예술 행위를 영위해 나가기 힘든 구조였다. 현 시대라고 다르지 않다. 화려해 보이지만 아픔이 있고, 슬픔이 있는 리골레토의 삶처럼 이 시대 예술가의 삶 역시 화려해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큰 아픔과 어려움이 공존한다. 원작 리골레토와 가장 큰 차이점은 시각의 차이다. 한 바리톤 가수는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며 정신분열을 겪게 된다. 그러던 중 오페라 리골레토 라는 작품을 만나고 리골레토의 모습에서 본인의 모습을 발견하여 점점 극을 실제로 이입하게 된다. 그는 리골레토의 삶에 공감하게 되고 본인이 점점 리골레토라고 믿게 된다. 이 극은 리골레토의 왜곡된 시각에서 바라본 극의 모습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리골레토와 다르지 않은 우리 가까이에 있는 리골레토 그 자체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많은 예술가들의 삶을 공부하면서 언제나 슬픔과 광기를 같이 가지고 있는 것이 예술가의 숙명이라고 생각해왔다. 그것을 리골레토라는 인물을 통해 대중이 알 수 있다면, “좀 더 예술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해가 생기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가지며, 오페라 살인은 왜 이 사람이 살인까지 종용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리골레토라는 작품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는 목표로 극을 만들고자 한다.(안희준 )
등장인물
리골레토(광대/가수)
만토바(공작/리골레토의 이상향)
질다(리골레토의 딸)
목소리(스파라 푸칠레/몬테로네-리골레토의 내면을 이루고 있는 소리)
막달레나(스파라푸칠레의 동생)
Ipac 오페라 살인 출연진 프로필
Rigoletto - Bar. 최윤성
국민대학교 졸업
프랑스 Conservatorie Gennevillier
심사위원 만장일치 수석졸업
France Concours d'Honneur 콩쿠르 1위
France Canari 국제 콩쿠르 1위
오페라 <L'elisir D'amore >, <Il Barbiere di Siviglia>
<Cosi fan tutte>, <Le Comte Ory, Count Ory>, <Madam Butterfly>
<Turandot>, <Rigoletto> 주역 출연
한국, 프랑스에서 다수의 미사곡 솔리스트
영산 컨서바토리, 성신여자대학교 강사역임
파리국립오페라단 합창단원역임
현) 모나코 몬테까를로 극장 단원
현) 한국문화예술진흥협회이사
현) 가톨릭대학교 출강
22년 2월 프랑스 파리&니스 초청 독창회 예정
22년 8월 프랑스 Sanxay 오페라페스티벌 Soirées lyriques de Sanxay
<Il barbiere di Siviglia> 주역 출연 예정
22년 11월 프랑스 Opéra di Québec <Don Giovanni> 주역 출연 예정
Gilda - Sop. 장연주
선화예술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학사 졸업
독일 바이마르 국립음악대학 오페라과 석사
(DAAD 독일 정부 학술교류처 장학생) 졸업
피에로 보니 국제 성악 콩쿠르 1위, 안톤 루빈슈타인 국제 음악콩쿠르 2위
빈 부르투오조 국제음악콩쿠르 1위, 파리 국제음악콩쿠르 특별상
동아음악콩쿠르 3위, 한국성악콩쿠르 2위 등 수상
바이마르국립극장, 벨베데레극장, 대구오페라하우스 등에서 <피가로의 결혼> 수잔나
<마술피리> 밤의 여왕, 파파게나, <호프만의 이야기> 올림피아 역 출연
독일 뤼벡, 이탈리아 몬테풀치아노, 브레시아 등지에서 연주
Mantova - Ten. 정찬혁
안양대학교 예술대학 성악과 졸업
이탈리아 L. Refice 국립음악원 Biennio 오페라과 만점졸업
이탈리아 Pescara 공립음악원 박사취득 (D.M.A)
신예음악콩쿨, 경남국제음악콩쿨, Evan Gorga, Caserta belvedere 등
국내 및 국제 성악콩쿨 8개 입상
국립오페라단, 세종오페라단, 안양오페라단, 광명오페라단 등과 오페라 및 다수의 연주
오페라 <마술피리>, <여자는 다 그래>, <사랑의 묘약>, <라트라비아타>, <라보엠> 등
다수의 오페라 국내 및 유럽극장 주역
이탈리아 로마, 체코 프라하 등 유럽에서 헨델 <Messiah>, 모차르트 <Requiem>, <Coronation Mass>
구노 <Messe solennelle> 등 다수 오라토리오 솔리스트 출연
현) 안양예고 출강, 안양시 칸타아모 합창단 지휘
Voice - 임하린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 재학
Maddalena - M.sop 전채인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학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과 석사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 <가면 무도회>
<리골레또> <라 보엠> <카르멘>
창작 뮤지컬 <광복>
스페인 바르셀로나 Young Artist 공연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아시아합창 초청연주
KBS 푸른코러스악단 연주
Magnolia Beethoven Symphony NO.9
독일 Berlin 한독 포럼 초청 연주
발퀴레 코리아 <리벨룽겐의 반지> 공연
안산시립합창단 정단원 역임
청솔초등학교 뮤지컬. 합창 수업 출강
대명그룹 소노펠리체컨벤션 뮤지컬 팀장
팝페라 크로스오버 앙상블 <세레니아> 멤버
현) 남양주시립합창단 정단원
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 -원작
리골레토(이탈리아어: Rigoletto)는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3막의 오페라이다. 빅토르 위고의 희곡 《환락의 왕》 (Le roi s'amuse)를 기초로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완성하였다. 1851년 3월 11일 베네치아의 라 페니체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배경 및 줄거리
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는 빅토르 위고의 5막으로 된 희극 <방탕한 왕 Le Rois’ amuse,1832>에 바탕을 둔다. 오페라는 3막으로 완성되었으며 완성된 오페라의 원제는 <저주> 였다. 이 작품은 비웃음과 신랄한 풍자를 날리는 꼽추 어릿광대 리골레토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작품이다. 테너가 주역을 맡는다는 통념에서 벗어나 바리톤이 주역을 맡는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16세기 이탈리아 북부의 만토바 공국, 꼽추 어릿광대 리골레토는 호색한인 만토바 공작을 주인으로 섬기며 그와 함께 악행을 일삼는다. 리골레토는 만토바 공작을 즐겁게 하는 존재이며, 항상 공작의 악행을 돕는다. 그런 그 에게는 숨겨둔 딸 질다가 있다. 대학생으로 변장한 만토바 공작은 리골레토의 딸 질다를 우연히 교회에서 만나게 되고 리골레토의 딸임을 알게 된다. 그는 리골레토의 집에 숨어들어 질다를 유혹하고 농락한다. 이에 분노한 리골레토는 살인 청부업자 스파라푸칠레를 고용하여 공작을 죽이려고 한다. 하지만 이 음모를 다 알게 된 질다는 공작을 사랑한 나머지 대신 죽임을 당하고 리골레토는 통한 하며 오페라는 결말을 맺는다.
오페라 살인(The Murder)
연출 노트(극의 분석 및 연출노트)
“ 예술가, 현 시대의 리골레토-우리는 왜 미칠 수 밖에 없는가?”
오페라 (살인)은 바리톤 가수를 통해 바라 본 리골레토의 비극적인 삶에 관한 이야기이다. 나는 광대의 삶과 현 시대의 예술인의 삶이 일정부분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역사를 살펴보면 예술가들은 각 시대의 권력층, 혹은 부유한 지배층의 후원과 도움을 받지 않으면 예술 행위를 영위해 나가기 힘든 구조였다. 현 시대라고 다르지 않다. 화려해 보이지만 아픔이 있고, 슬픔이 있는 리골레토의 삶처럼 이 시대 예술가의 삶 역시 화려해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큰 아픔과 어려움이 공존한다. 원작 리골레토와 가장 큰 차이점은 시각의 차이다. 한 바리톤 가수는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며 정신분열을 겪게 된다. 그러던 중 오페라 리골레토 라는 작품을 만나고 리골레토의 모습에서 본인의 모습을 발견하여 점점 극을 실제로 이입하게 된다. 그는 리골레토의 삶에 공감하게 되고 본인이 점점 리골레토라고 믿게 된다. 이 극은 리골레토의 왜곡된 시각에서 바라본 극의 모습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리골레토와 다르지 않은 우리 가까이에 있는 리골레토 그 자체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많은 예술가들의 삶을 공부하면서 언제나 슬픔과 광기를 같이 가지고 있는 것이 예술가의 숙명이라고 생각해왔다. 그것을 리골레토라는 인물을 통해 대중이 알 수 있다면, “좀 더 예술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해가 생기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가지며, 오페라 살인은 왜 이 사람이 살인까지 종용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리골레토라는 작품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는 목표로 극을 만들고자 한다.(안희준 )
등장인물
리골레토(광대/가수)
만토바(공작/리골레토의 이상향)
질다(리골레토의 딸)
목소리(스파라 푸칠레/몬테로네-리골레토의 내면을 이루고 있는 소리)
막달레나(스파라푸칠레의 동생)
Ipac 오페라 살인 출연진 프로필
Rigoletto - Bar. 최윤성
국민대학교 졸업
프랑스 Conservatorie Gennevillier
심사위원 만장일치 수석졸업
France Concours d'Honneur 콩쿠르 1위
France Canari 국제 콩쿠르 1위
오페라 <L'elisir D'amore >, <Il Barbiere di Siviglia>
<Cosi fan tutte>, <Le Comte Ory, Count Ory>, <Madam Butterfly>
<Turandot>, <Rigoletto> 주역 출연
한국, 프랑스에서 다수의 미사곡 솔리스트
영산 컨서바토리, 성신여자대학교 강사역임
파리국립오페라단 합창단원역임
현) 모나코 몬테까를로 극장 단원
현) 한국문화예술진흥협회이사
현) 가톨릭대학교 출강
22년 2월 프랑스 파리&니스 초청 독창회 예정
22년 8월 프랑스 Sanxay 오페라페스티벌 Soirées lyriques de Sanxay
<Il barbiere di Siviglia> 주역 출연 예정
22년 11월 프랑스 Opéra di Québec <Don Giovanni> 주역 출연 예정
Gilda - Sop. 장연주
선화예술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학사 졸업
독일 바이마르 국립음악대학 오페라과 석사
(DAAD 독일 정부 학술교류처 장학생) 졸업
피에로 보니 국제 성악 콩쿠르 1위, 안톤 루빈슈타인 국제 음악콩쿠르 2위
빈 부르투오조 국제음악콩쿠르 1위, 파리 국제음악콩쿠르 특별상
동아음악콩쿠르 3위, 한국성악콩쿠르 2위 등 수상
바이마르국립극장, 벨베데레극장, 대구오페라하우스 등에서 <피가로의 결혼> 수잔나
<마술피리> 밤의 여왕, 파파게나, <호프만의 이야기> 올림피아 역 출연
독일 뤼벡, 이탈리아 몬테풀치아노, 브레시아 등지에서 연주
Mantova - Ten. 정찬혁
안양대학교 예술대학 성악과 졸업
이탈리아 L. Refice 국립음악원 Biennio 오페라과 만점졸업
이탈리아 Pescara 공립음악원 박사취득 (D.M.A)
신예음악콩쿨, 경남국제음악콩쿨, Evan Gorga, Caserta belvedere 등
국내 및 국제 성악콩쿨 8개 입상
국립오페라단, 세종오페라단, 안양오페라단, 광명오페라단 등과 오페라 및 다수의 연주
오페라 <마술피리>, <여자는 다 그래>, <사랑의 묘약>, <라트라비아타>, <라보엠> 등
다수의 오페라 국내 및 유럽극장 주역
이탈리아 로마, 체코 프라하 등 유럽에서 헨델 <Messiah>, 모차르트 <Requiem>, <Coronation Mass>
구노 <Messe solennelle> 등 다수 오라토리오 솔리스트 출연
현) 안양예고 출강, 안양시 칸타아모 합창단 지휘
Voice - 임하린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 재학
Maddalena - M.sop 전채인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학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과 석사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 <가면 무도회>
<리골레또> <라 보엠> <카르멘>
창작 뮤지컬 <광복>
스페인 바르셀로나 Young Artist 공연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아시아합창 초청연주
KBS 푸른코러스악단 연주
Magnolia Beethoven Symphony NO.9
독일 Berlin 한독 포럼 초청 연주
발퀴레 코리아 <리벨룽겐의 반지> 공연
안산시립합창단 정단원 역임
청솔초등학교 뮤지컬. 합창 수업 출강
대명그룹 소노펠리체컨벤션 뮤지컬 팀장
팝페라 크로스오버 앙상블 <세레니아> 멤버
현) 남양주시립합창단 정단원